연산당당한방병원은 한약 건강보험
시범사업 선정 병의원입니다.
2024년 4월부터 국민 수요가 높고 한방치료 효과가 입증된
6개 질환에 대한 한약(첩약) 처방에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실손보험 청구 가능(개인별 상이)
본인부담금 60~70% 감소
연간 2가지 질환/ 각 20일(10일씩 2회)
※ 당당 한약은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약재를 가감하여 개인별로 맞춤 처방됩니다.
※ 약재에 따라 비용 차이가 있으니 자세한 사항은 해당지점으로 문의 바랍니다.
안심하고 드실 수 있도록
안전하게 제조
당당은 첨단 한약 조제 시설과
품질관리시스템이 갖춰진
원내/원외탕전실을 구축하여
처방부터 조제, 배송까지 한약
조제의 모든 과정을 보다 정확하고
투명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식약처 GMP 인증
좋은 한약재 사용
전세계 원산지에서 공수한
최상급 한약재 중안전성 및
약효가 검증된 의약품용
한약재만을 사용합니다.
전문의약품 수준의
까다로운 품질관리
엄격한 실험과 검사로 한약재
유효성 및 유해성 검증은 물론
조제된 한약의 안전성까지
철저하게 품질관리 합니다.
만족도와 수요가 높지만 비용부담이 컸던 한약치료.
그동안 비용 때문에 한약 복용을 고민하셨다면,
당당에서 증상에 맞는 첩약을 처방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네, 그렇습니다. 첩약은 탕약(액상) 형태의 한약으로, 건강보험은 해당 제형에만 적용이 됩니다. 한약(첩약)은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개인별로 맞춤 처방되며, 처방된 한약은 담당의 첨단 한약 조제 시스템을 통해 안전하게 조제되어 환자분들께 전달됩니다.
아니요, 불가능합니다. 보신, 보양 목적의 한약은 건강보험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번 첩약 건강보험 시범사업은 허리디스크(요추추간판탈출증), 안면신경마비, 기능성 소화불량, 알레르기 비염, 월경통, 뇌혈관질환후유증 상기 6가지 질환에 대한 치료 목적의 첩약에 대해서만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네, 가능합니다. 환자 1인당 연간 2가지 질환에 질환 별 20일씩(총 40일) 건강보험이 적용(급여)되며, 본인부담금 30~40%에 대해서도 개인이 가입한 실손 의료보험으로 보상 가능합니다. 또한 질환 별 20일까지 건강보험 적용 이후 동일 질환으로 동일 병원에서 계속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도 비급여가 아닌 시범 수가로 적용되며, 실손 의료보험 보상이 가능합니다. 단, 가입하신 실손 보험 종류에 따라 보장 범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아니요, 불가능합니다. 예를들어 월경통이 있는데 두통도 있어서 두통에 관한 약도 같이 처방받고 싶을 수 있습니다. 월경통의 치료 목적으로 구성된 처방만이 보험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두통에 관한 약을 같이 한꺼번에 처방받을 수는 없습니다. 두통에 관한 약은 비급여 한약이기 때문에 별도로 처방 받으셔야 합니다. 또한 건강보험 적용이 되는 6가지 질환 중 2가지 질환을 동일한 날 처방 받는것 또한 불가 합니다.
아니요, 불가능합니다. 타 한의원에서 1차 처방을 받았다면 2차도 해당 한의원에서 처방 받아야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합니다. 즉, 동일 질환은 동일 의료기관에서만 처방 가능하며 2차 이후 동일 질환으로 추가 처방이 필요할 경우도 동일 의료기관에서 처방 받아야 전액 본인부담급여(100/100) 적용이 가능합니다. (단, 다른 질환은 다른 의료 기관에서 처방 가능)
아니요, 불가능합니다. '첩약 건강보험 시범 기관' 으로 선정된 한의원과 한방병원에서만 적용이 가능합니다. 한방병원의 경우, 입원환자를 제외한 외래로 내원 시 적용됩니다. 전국 당당한방병의원은 보건복지부 지정 첩약 건강보험 시범기관으로 6개 질환에 대한 첩약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합니다.
체형교정, 족부교정, 턱관절교정, 턱관절 난치성 질환, 근골격계통증, 척추관절질환, 추나요법, 약침, 한방내과
척추관절통증, 자가면역질환,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류마티스, 통풍, 크론병, 해독요법
척추관절질환, 교통사고후유증, 다이어트, 부인과
척추관절질환, 근골격계통증, 체형교정, 추나요법, 약침, 교통사고후유증, 수술 후 재활, 스포츠재활
척추관절질환, 근골격계통증, 교통사고후유증, 다이어트, 부인과, 안면마비, 통증특수클리닉
척추관절질환, 교통사고후유증, 턱관절난치병, 화병, 소화기질환, 안면마비
무릎질환, 족부질환, 팔꿈치질환, 어깨질환, 경추 및 요추 척추질환, 신경차단술
소화기계 위장질환, 건강검진, 위·대장 용종 절제술, 위장관 내시경 지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