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저림이 허리 문제 신호일 때 꼭 알아야 할 사실
본문
![]()
안녕하세요, 여러분과 계속 소통하는 한의사 성진욱입니다.
“허리가 조금 뻐근하긴 했는데, 요즘은 다리까지 저려요.”
이런 느낌이 들면 처음엔 단순한 피로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저림이 발끝까지 내려오면, 조금 의아하게 느껴지실 텐데요.
오래 앉아 있으면 통증이 심해지고, 허리를 숙일 때 찌릿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면?
이런 ‘허리디스크 다리 저림’은 많은 분들이 초기에 겪는 공통적인 증상입니다.
문제는 대부분 이 시기를 가볍게 넘긴다는 점입니다.
그냥 “자세가 나빠서 그렇겠지”, “나이가 들어서 그렇겠지” 하며 방치하다가 어느 순간 걷기조차 힘들어지기도 하죠.
허리디스크 초기에는 다리 저림만 나타날 수도 있지만, 이는 이미 신경이 압박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오늘은 허리디스크 초기 증상과 꼭 알아둬야 할 포인트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다리 저림이 왜 허리에서 시작될까요?
허리디스크(추간판 탈출증)는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가 밀려나 신경을 압박하면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 신경이 다리까지 이어져 있기 때문에, 허리 문제도 곧바로 다리 저림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초기에는 허리보다 다리에 이상을 먼저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허리 통증이 거의 없더라도, 저림, 감각 둔화, 발끝 당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신경 압박 가능성을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 치료를 시작하면 수술 없이도 충분히 회복될 가능성이 높답니다.

수술 없이도 가능한 치료가 있을까요?
많은 분이 “디스크는 결국 수술해야 한다”고 생각하시지만, 실제로는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통증 부위만 보는 것이 아니라, 허리를 중심으로 전신의 균형을 함께 살펴보는 것입니다.
디스크 주변 근육, 인대, 골반 정렬까지 함께 고려해야 통증의 근본 원인을 바로잡을 수 있거든요.
즉, 디스크의 손상이나 신경 압박만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자세 불균형과 체형 틀어짐까지 바로잡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왜 치료 방식이 사람마다 다를까요?
많은 치료가 ‘통증 완화’에 초점을 맞춘다면, 저는 자세에서 비롯된 허리 통증의 원인을 찾아 교정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물론 디스크 파열과 신경 압박도 확인하고 치료하지만,
그 원인을 만든 골반, 어깨, 체형 불균형까지 함께 교정해 재발률을 낮추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어깨 높이가 다르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지면 상체 무게 중심이 틀어져 허리 한쪽에 지속적인 부담이 가해집니다.
실제로 목과 어깨 불균형이 허리 근육 긴장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 디스크 손상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골반의 좌우 틀어짐은 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골반이 한쪽으로 돌아가면 척추가 비틀리고, 한쪽 디스크에 과도한 압력이 집중되죠.
이 상태가 지속되면 디스크 퇴행이 빨라지고 통증이 심화됩니다.
그래서 추나, 약침 등을 활용해 허리·골반·어깨 균형을 맞추는 치료를 병행하면,
치료 속도는 빨라지고 재발률은 낮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신호가 있을까요?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단순 피로로 보기 어렵습니다.
- 다리 저림이 2주 이상 지속된다.
- 한쪽 다리만 유독 감각이 둔하다.
- 오래 앉아 있을 때 허리보다 다리가 더 저리다.
- 허리를 펴면 다리 뒤쪽이 당긴다.
이런 경우 이미 신경 압박이 진행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단순 찜질이나 약으로는 개선되지 않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
허리디스크로 인한 다리 저림은 시간이 해결해주지 않습니다.
초기에는 가벼운 불편함으로 시작하지만, 방치하면 만성 통증이나 근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늦지 않게 접근하면, 수술 없이도 충분히 회복 가능합니다.
허리디스크의 원인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전문가의 진단과 체계적인 치료 계획이 필수입니다.
지금 다리 저림이나 허리 통증이 반복된다면, 허리디스크 치료 경험이 풍부한 한의사 등 전문가와 상의해 보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허리는 단순한 ‘통증 부위’가 아니라, 몸의 중심이자 균형을 지탱하는 근본입니다.
지금의 작은 저림이 내일의 큰 통증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이 글은 일반적인 건강 정보를 위한 것이며, 개인 증상에 따라 의료진 진료와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이전글O자다리, 외형보다 몸 전체 균형 회복이 핵심 25.10.30
- 다음글교통사고 후유증, 통증보다 무서운 균형 붕괴 25.10.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