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반 틀어짐부터 무릎 통증까지, 성인 안짱다리 바로잡기
본문
![]()
안녕하세요. 고민을 함께 나누고 해결해드리는 한의사 성진욱입니다.
회사에 다니던 어느 날, 최근 출근길마다 뭔가 불편함을 느꼈습니다.
‘운동화를 새로 샀는데 며칠 지나지도 않았는데 오른쪽 뒤꿈치만 유난히 닳네...?’
주변에서는 “걷는 습관 때문일 거야” 하고 가볍게 말했지만,
거울 앞에 서서 다리를 모아보니 양쪽 무릎이 닿지 않더군요.
무릎은 안쪽으로 말리고, 발끝은 서로를 향한 안짱다리 상태였습니다.
사실 이런 분들이 생각보다 꽤 많습니다.
✔️ 어릴 때부터 이어져 온 습관
✔️ 성인이 되어 생긴 골반 불균형
✔️ 장시간 앉아 있는 자세
이런 요인들로 인해 성인이 된 뒤에도 안짱다리가 굳어버린 경우가 많죠.
이건 단순히 ‘보기 싫은 다리 모양’의 문제가 아닙니다.
무릎·골반·허리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조적 문제이기 때문에 가볍게 넘기면 안 됩니다.
오늘은 무릎 통증까지 이어지는 이유,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성인은 왜 교정이 어려울까요?
성장기에는 다리뼈가 비교적 유연하죠.
그래서 자세를 고치면 형태가 쉽게 변하지만, 성인이 되면 이미 성장판이 닫혀 있습니다.
즉, 교정의 핵심은 ‘뼈’가 아니라 ‘근육과 관절의 정렬’을 되살리는 데 있습니다. 그래서 더 어렵다고 하는 거죠.
오랜 시간 앉아 있는 습관, 다리를 꼬는 자세, 한쪽으로 쏠린 체중 중심이 반복되면 어떨까요?
당연히 엉덩이·허벅지·종아리 근육의 밸런스가 무너질 수밖에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골반이 틀어지고 다리가 안으로 말리게 되죠.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무릎 내측 연골에 부담이 쌓여 통증이나 피로를 유발할 수 있고,
척추나 어깨 정렬에도 미세한 이상이 생겨 전신의 균형이 흐트러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당장 실천할 수 있는 건 뭘까요?
생활 속에서 충분히 시도할 수 있는 교정 습관들이 있습니다.
자세 인식부터 시작하기
앉을 때 무릎을 모으거나 다리를 꼬지 않고, 골반을 수직으로 세우는 연습을 꾸준히 해보세요.
거울 앞에 서서 무릎과 발끝이 일직선으로 향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좋습니다.
허벅지·엉덩이 근육 강화하기
엉덩이 바깥쪽 근육과 허벅지 안쪽 근육을 균형 있게 강화하면
무릎이 안으로 말리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밴드를 무릎에 걸고 다리를 벌리는 운동이나, 벽에 등을 대고 천천히 스쿼트하는 방식이 도움이 됩니다.
보행 시 체중 분산을 돕는 맞춤깔창 사용하기
걸음걸이 교정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바로 ‘발의 정렬’입니다.
대부분 성인 안짱다리의 경우, 발의 아치가 무너져 있거나 체중이 안쪽으로 쏠려 있습니다.
이럴 땐 단순한 깔창이 아닌, 발 구조와 체중 분포를 분석한 맞춤깔창이 필요합니다.
체형 분석과 보행 검사를 통해 개인의 발 모양에 맞춘 교정용 깔창을 제작하는 곳도 있는데요.
✔️ 발의 중심이 어디로 이동하는지
✔️ 걸음 한 걸음마다 압력이 어떻게 분포하는지
이런 요소들을 정밀하게 측정해, 무릎과 골반 정렬까지 고려한 기능성 깔창을 제공합니다.
단순히 발의 편안함뿐 아니라, 전신 정렬까지 함께 개선하는 접근 방식이죠.


혼자서도 교정이 가능할까요?
요즘 유튜브나 SNS에서 “집에서 하는 교정법”을 많이 보실 텐데요.
이미 체형이 굳어진 성인 안짱다리라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무리한 스트레칭이나 잘못된 운동은 오히려 관절에 부담을 줘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무릎이 안쪽으로 틀어진 채로 걷게 되면 잘못된 힘의 전달로
무릎 안쪽이나 허벅지 앞쪽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단순한 운동보다 전문가의 정밀 분석과 체형 교정 계획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
![]()
그럼 언제 전문가를 찾아야 할까요?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신발의 한쪽이 더 빨리 닳는다.
- 무릎을 붙이면 발끝이 심하게 안쪽을 향한다.
- 오래 걷거나 서 있을 때 무릎·골반·허리에 피로감이 있다.
- 체중을 실을 때 한쪽 다리에 쏠림이 느껴진다.
이런 경우 이미 정렬 이상이 고착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보행 분석과 체형 교정을 통해 본인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운동·자세·맞춤깔창을 병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런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다리뿐 아니라 전신의 균형까지 회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가와 함께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겠죠.
![]()
성인 안짱다리 교정은 단순히 다리 모양을 예쁘게 만드는 일이 아닙니다.
무너진 정렬을 회복하고, 통증과 피로를 줄이며 균형 잡힌 몸을 만들어가는 과정이죠.
안짱다리로 인해 보행이 불편하거나 무릎 통증이 계속된다면,
혼자서 해결하려 하기보다 전문가의 평가를 받아보시길 권합니다.
정확한 진단과 체형 분석을 통해 나에게 맞는 교정법과 맞춤깔창을 적용하면,
불편함을 줄이면서도 자연스러운 정렬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몸의 균형을 되찾는 첫걸음, 지금 시작해보세요.
※ 이 글은 일반적인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의료인의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판단과 치료는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목·허리 묵직한 통증, 교통사고 후유증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 25.10.31
- 다음글이상 소견, 조기 관리가 건강 지키는 핵심 25.10.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